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4

[꽃꽂이] 다양한 꽃꽂이 원시인들은 보통 자기들의 부족을 상징하는 꽃을 꽂거나 거처에 꽃으로 장식을 하기도 하였다.대한민국에서는 전통적인 조화 제작인 채화와 생화인 진화(眞花)를 이용한 꽃꽂이 및 식물 가꾸기가 존재했다.  조선시대의 꽃꽂이는《사계분경도(四季盆景圖)》와 《길상도(吉祥圖)》에서 꽂혀 있는 꽃들을 볼 수 있다.  《문방기명도(文房器皿圖)》에는 한세련된 꽃꽂이 형태를 엿볼 수 있다. 《한일통상조약기념연회도(韓日通商條約紀念宴會圖)》에도 항아리에 꽂힌 꽃들이 있다. 중국에는 당 현종(玄宗) 때의 《개원유사(開元遺事)》에 "비빈들이 서로 타투어가며 꽃꽂이를 하였다(使妃嬪輩爭揷艶花)"라는 기록이 있다. 일본의 꽃꽂이는 공화(供花: 부처에게 바친 꽃)를 바탕으로 하였다. 일본의 꽃꽂이는 주로 카도우(華道) 또는 이케바나(生け花.. 2025. 2. 25.
[유럽의 성당] 스페인의 사라고사 필라르 성모 대성당 사라고사 필라르 성모 대성당(Basílica del Pilar de Zaragoza)은 스페인 아라곤 지방 사라고사(Zaragoza)에 위치한 웅장한 가톨릭 성당으로, 스페인의 가장 중요한 성지 중 하나다. 성모 마리아가 나타났다고 전해지는 장소이며, 유럽 최초의 마리아 성당으로 여겨지고 있다.사라고사 필라르 성모 대성당(Basílica de Nuestra Señora del Pilar)은 스페인의 아라곤 지방, 사라고사(Zaragoza)에 위치한 가톨릭 교회의 대성당이다. 이곳은 스페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로 여겨지며, 성당은 성모 마리아가 직접 발현한 장소로 전해지고있다. 필라르 성모 대성당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순례지다. 매년 10월 12일, 필라르의 성모 축.. 2025. 2. 25.
[유럽여행] 미하스 마을 (Mijas) 미하스 마을 (Mijas) – 하얀 언덕 마을  미하스(Mijas)는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말라가(Málaga) 주에 위치한 아름다운 백색 마을(Pueblo Blanco)이다. 코스타 델 솔(Costa del Sol) 해안 지역에서 조금 내륙으로 들어간 언덕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하얀 건물들과 지중해를 내려다보는 환상적인 전망 덕분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이다.미하스는 전통적인 스페인 문화와 현대적인 관광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마을이다. 로마 시대부터 무어인(이슬람) 지배기, 그리고 기독교 정복 시대까지 다양한 문화가 혼합되면서 독특한 건축과 문화를 형성해 왔다. 오늘날 미하스는 그림 같은 마을 풍경, 당나귀 택시(Burro Taxi), 지역 예술과 축제, 그리고 .. 2025. 2. 25.
[유럽여행] 유럽의 발코니 프리힐리아. 유럽의 발코니, 프리힐리아 (Balcón de Europa, Frigiliana) 스페인의 안달루시아 지방에는 ‘유럽의 발코니’라는 별칭을 가진 아름다운 마을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프리힐리아(Frigiliana)는 코스타 델 솔(Costa del Sol) 지역의 대표적인 백색 마을(Pueblo Blanco)로, 스페인 남부 말라가(Málaga)에서 약 7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프리힐리아는 스페인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하나로 손꼽히며, 하얀 벽과 푸른 지중해를 배경으로 한 전경이 유명하다.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길, 이슬람과 기독교 문화가 어우러진 건축 양식, 그리고 따뜻한 기후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프리힐리아의 역사는 고대 페니키아인과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이곳이.. 2025. 2. 25.
[유럽의 성당] 몬세라트 수녀원 몬세라트 수녀원(Abbey of Montserrat)은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몬세라트(Montserrat) 산에 위치한 유명한 베네딕트회 수도원이야. 바르셀로나에서 약 50km 정도 떨어져 있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스페인의 대표적인 성지로 꼽힌다. 몬세라트 수녀원의 기원은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지역에는 원래 작은 예배당이 있었으며, 이후 1025년 베네딕트 수도사들에 의해 본격적인 수도원이 세워졌다. 중세 시대에 몬세라트는 스페인과 유럽 전역에서 신앙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으며, 많은 순례자들이 성모 마리아상을 보기 위해 방문했다.16세기에는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수도원에서 음악과 학문이 활발히 연구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초반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 군대의 침략으로 .. 2025. 2. 25.
[유럽의 성당] 산토토메교회-똘레도 대성당 스페인의 중앙부, 신카스티야 지방의 톨레도주의 주로. 삼면이 이베리아반도 최장의 다호강에 둘러싸인 작은 언덕 위에 있다,  그 기원은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로마시대에는 톨레툼(Toletum)이라 불렀다.톨레도[ Toledo] 오늘날까지 몇 번인가 이베리아역사의 주요 무대가 되었으며, 그 때문에 마을 전체가 마치 역사박물관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시내 건축물의 외관은 오늘날 일체의 개조가 금되어 있는데 톨레도가 역사에 크게 부상한 것은 로마시대 말기로, 이베리아의 그리스도 교회가 제3회 주교회의를 여기에서 개최했을 때부터이다. 그후 반도의 지배권이 로마에서 게르만인의 일파인 서고트(비시고트)족으로 이행되자, 아타나길도(Atanagildo, 재위 554~567)왕은 560년에 궁정을 톨레도로.. 2025.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