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및 상식17

[뉴스 및 상식] 아침만 안먹는 비 간헐적 단식. 요즘 다이어트겸 아침을 잘 안먹고 있는데 이게 건강에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아침식사만 건너뛰는 것이 건강에 꼭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개인의 생활 패턴, 건강 상태, 식사 구성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어요. 아래에 아침을 건너뛰는 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정리해볼게요. 요즘 많이 하시는 간헐적 단식(Intermittent Fasting)은 아닙니다, 간헐적 단식은 일정 시간 동안 식사를 제한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금식하는 식이 방식입니다.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가장 흔한 형태는 16:8 방식으로, 하루 16시간 금식하고 8시간 동안 식사하는 것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보통 아침을 건너뛰고, 점심부터 식사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렇듯 딱 정해서 하는건 아니고 그저 아침만 안먹.. 2025. 5. 13.
[뉴스 및 상식]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 요즘 전쟁의 문턱까지 가있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은 주로 카슈미르(Kashmir) 지역의 영유권 문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갈등은 역사, 종교, 정치적인 요소가 얽힌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분쟁의 첫번째 원인을 보면 한 나라였던 인도, 파키스탄이 분리, 독립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인도는 1858년 영국의 직할지로 편입되면서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당시 인도는 힌두교, 이슬람이 양립하는 종교문제와, 언어, 문화가 지역마다 크게 달라서 통일된 국가 정체성이 약했습니다. 이에 영국은 "분할 통치(divide and rule)" 전략을 써서 힌두교도와 무슬림을 이간질하거나, 지방 군주들을 서로 경쟁시키며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대표적으로 힌두교와 이슬람의 갈등을 조장했습니다, 인도에는 힌두교와 이슬람교라는.. 2025. 5. 4.
[뉴스 및 상식] 서울시민 안전보험에 대해 아시나요?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자동 가입… ‘서울시민 안전보험’이란?서울특별시는 시민들의 일상 속 불의의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시민 안전보험’을 운영하고 있다.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서울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자동으로 가입되며, 보험료는 서울시가 전액 부담한다. 각종 재난, 사고, 범죄 피해 등을 보장하는 이 제도는 시민의 안전망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자동 가입, 서울시 전액 부담 ‘서울시민 안전보험’은 서울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등록을 마친 외국인 주민도 포함된다. 주민등록이 서울로 되어 있는 한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으로 보험에 가입된다. 보험료는 서울시가 시민 1인당으로 책정해 일괄 계약하며, 시민이 따로 돈을 내지 않아도 .. 2025. 4. 29.
[뉴스 및 상식] 커피에 발암물질?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중 하나인 커피는 집중력을 높이며 사람의 기분을 좋게하는 음료입니다. 이러한 커피에 발암물질이 들어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찌 해야될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우선 1965년도에 설립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기관인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 국제 암연구소)에서 1991년에는 커피를 "Group 2B" (인간에 발암 가능성 있음)로 분류했습니다, 이유는 커피를 볶는 과정에서 생기는 아크릴아마이드 (Acrylamide)라는 화학물질 때문인데 이물질은 탄수화물이 많은 식품을 고온(120°C 이상)에서 가열할 때 생성됩니다. 이물질은 커피뿐 아니라 감자튀김, 토스트한 빵, 쿠키 등에도 들어 있습니다. .. 2025. 4. 29.
[뉴스 및 상식] 우리나라 국회의 단원제와 미국의 양원제의 차이??? 국회(National Assembly) 하나만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단원제와 미국의 양원제는 모두 입법기능을 담당하지만 구조와 운영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무었이 다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국회의 기본적인 구조로는 단원제로서 국회 하나만 존재합니다, 모든 입법권한이 국회 하나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국회의원은 300명으로 임기는 4년이고, 지역구 253명, 비례대표 47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회의원의 역할로는 법률제정, 예산 심의 및 확정,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해임 건의 등 정부견제등 입법부가 하나이기 때문에 입법 절차가 미국보다 간결하다는게 장점이지만, 견제와 심사 과정이 다소 약할 수 있다는게 단점이기도 합니다.미국의 양원제는 상원(Senate)과 하원(House of Rep.. 2025. 4. 28.
[뉴스 및 상식] 씽크홀(Sinkhole)이 생기는 이유. 최근에 신안산선 씽크홀 사고로 인명피해까지 생기는 안타까운 일이 생겼습니다. 또한 16일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과 6호선 돌곶이역 인근도로에서도 씽크홀 의심 신고가 접수되어 일부차선을 통제하는 일도 생겼습니다. 이렇듯 매년 일어나는 씽크홀 사고에 대해 원인과 미연에 방지할 대책은 무었인지 살펴보았습니다. 씽크홀(Sinkhole)이 무었인지를 보면 "땅속 빈 공간이 무너져 내리면서 지표면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입니다, 일상에서 보면 갑자기 도로나 건물 바닥이 움푹 꺼져 큰 구멍이 생기는 것처럼 보이죠. 이 현상은 자연적인 원인도 있지만 인간의 활동 때문에 생기기도 합니다. 첫번째 자연적으로 생기는 주요 원인으로는 석회암지대등 지하 암석이 용해로 석회암이나 석고같은 암석에 지하수가 흐르면서 녹는.. 2025.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