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쟁의 문턱까지 가있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은 주로 카슈미르(Kashmir) 지역의 영유권 문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갈등은 역사, 종교, 정치적인 요소가 얽힌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분쟁의 첫번째 원인을 보면 한 나라였던 인도, 파키스탄이 분리, 독립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인도는 1858년 영국의 직할지로 편입되면서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당시 인도는 힌두교, 이슬람이 양립하는 종교문제와, 언어, 문화가 지역마다 크게 달라서 통일된 국가 정체성이 약했습니다.
이에 영국은 "분할 통치(divide and rule)" 전략을 써서 힌두교도와 무슬림을 이간질하거나, 지방 군주들을 서로 경쟁시키며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대표적으로 힌두교와 이슬람의 갈등을 조장했습니다, 인도에는 힌두교와 이슬람교라는 두 주요 종교가 공존했는데, 영국은 이 둘의 상호 불신을 키워 충돌을 유도했습니다. 예시로 정부 정책에서 소수의 이슬람교에게 혜택을 주는 종교별 차별적 대우를 해서 갈등의 골을 깊게하고 또 종교적 감정을 건드리는 결정(예: 소고기/돼지고기 사용 관련 문제)을 내려 갈등을 증폭 시켰습니다.
그리고 인도의 전통적인 카스트 제도(브라만, 크샤트리아, 수드라 등)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하위 계급이 상위 계급과 연대하지 못하도록 만들었습니다. 특정 카스트에 특권을 주거나, 다수의 하층민에게 영국 편을 들도록 유도했습니다.
그리고 인도 전역에는 수많은 지방 왕국(프린슬리 스테이트)이 있었는데, 이들에게 자치권을 보장하는 대신 영국에 충성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덕분에 영국은 전체 인도를 직접 통치하지 않아도 지배가 가능했고, 각 왕국은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지 못했습니다.
이렇듯 영국의 분할통치는 단기적으로는 아주 성공적이었고, 수많은 인도인을 통제하는 데 유리한 전략이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힌두-이슬람 갈등은 현재의 인도-파키스탄 분쟁으로 연결되듯 인도 사회의 깊은 분열을 초래했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이런 원인으로 1947년에 영국이 인도 식민지에서 철수하면서 인도(힌두교 중심)와 파키스탄(이슬람 중심) 두 나라로 분할되었습니다.
현재 분쟁의 씨앗이된 카슈미르는 이슬람 인구가 대다수였지만 힌두교도인 왕(마하라자 하리 싱)이 통치하던 지역이었습니다.
마하라자는 인도와 파키스탄 중 어느 쪽에도 즉시 귀속하지 않고 독립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파키스탄 측의 부족 무장세력이 카슈미르에 침입하자, 마하라자는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며 인도에 귀속을 선언했습니다.
이로 인해 1947년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발발했고, 유엔의 중재로 현재의 분할통치 상태가 되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모두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이며, 카슈미르 문제를 둘러싸고 세 차례의 전쟁(1947, 1965, 1999)과 수많은 국지 충돌이 있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전쟁은 단순한 지역 분쟁을 넘어서 핵무장 국가 간의 충돌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1999년 카르길 전쟁 이후, 양국 간 군사 충돌은 핵 전쟁 가능성까지 거론되며 전 세계적 긴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남아시아 전체의 안보 불안을 야기하며, 이 지역에 투자하거나 협력하려는 국가나 기업들에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중국, 이란과 인접한 지역이기 때문에 지정학적 긴장도 커집니다.
그런 이유로 유엔은 과거부터 카슈미르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개입했으며, 휴전선(LoC: Line of Control)을 감시하기 위해 감시단을 파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양국 모두 외부의 개입을 경계하는 입장이라, 국제기구의 역할에 한계가 존재합니다.
'뉴스 및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및 상식] 대통령 후보의 대선자금 지원금, 그리고 보존금?? (4) | 2025.05.19 |
---|---|
[뉴스 및 상식] 아침만 안먹는 비 간헐적 단식. (2) | 2025.05.13 |
[뉴스 및 상식] 서울시민 안전보험에 대해 아시나요? (3) | 2025.04.29 |
[뉴스 및 상식] 커피에 발암물질? (0) | 2025.04.29 |
[뉴스 및 상식] 우리나라 국회의 단원제와 미국의 양원제의 차이??? (1)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