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및 상식

[뉴스 및 상식] 인도판(Indian Plate)과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이란?

by 퍼즐공방 2025. 3. 30.

미얀마에서 강진이 발생한 이후 이번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천600명대로 늘었습니다.
해외 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 관련 사망자 수가 1천644명, 부상자가 3천408명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수습되기 전이기 때문에 사상자는 계속 늘어 1만명을 넘을거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 서북서쪽 17km 지역


1-미얀마 지진이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
옆 나라인 일본에서 수시로 지진이 발생하고 이번에 미얀마에서 강진이 발생함에 따라 과연 우리나라도 안전할지 하는 불안감이 생깁니다. 일단 대한민국은 미얀마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지만, 어떠한 영향이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지진파와 한반도의 지진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면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이 한반도까지 직접적인 충격을 주지는 않지만,
판 구조 운동이 지속되면서 인도판(Indian Plate)과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의 충돌이 한반도 근처 판 경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한반도에서도 경주·포항 지진과 같은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사례가 있는데, 이는 판구조 운동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2-인도판(Indian Plate)과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이란?
미얀마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원인은 주로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지역은 힌두쿠시-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로, 판구조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진 다발 지역입니다.
인도판은 남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이동하는 판입니다, 반면에 유라시아판은 북쪽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움직이는 인도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subduction)하거나 충돌하면서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강한 압력과 응력이 축적됩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응력이 쌓이면 단층이 움직이면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히말라야 산맥도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면서 형성된것이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얀마 주변에서도 지각 변동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기후 및 자연재해 연관성
미얀마 해안 지역에서 강진이 발생하면 쓰나미가 동남아 및 동중국해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동중국해에서 쓰나미가 발생하면, 한반도 남해안이나 제주도에도 간접적인 해수면 변화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QRbi7nbLqDs?feature=share


4-경제적 영향
이번 강진으로 경제적손실도 큽니다, 현재 예측으로 한화 약 150조가 넘을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의 피해도 무시할수 없겠습니다, 미얀마에는 한국 기업들이 다수 진출해 있으며, 지진으로 인해 공장이나 사업장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미얀마를 통한 무역 루트(특히 동남아시아-인도 간 이동 경로)로 인한 물류와 공급망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