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및 상식

[뉴스 및 상식] 지진...그 이후에는??

by 퍼즐공방 2025. 4. 2.

미얀마 강진으로 인한 피해 보고가 연일 기록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사망자는 2천719명으로 늘었고 부상자는 4천521명이라고 합니다.
이번 지진 여파로 1천Km이상 떨어져있는 태국 수도 방콕에 공사중인 30층 빌딩이 무너지기도 했고 태국에서만 20명이 숨졌고 74명이 실종상태입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닙니다, 지진 발생 후에는 여러 가지 2차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염병의 확산은 주요한 위험 요소 중 하나입니다.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GvRKRdT971A

1. 위생 문제 및 전염병 확산
지진으로 인해 상하수도 시설이 파괴되면서 깨끗한 물 공급이 어려워지고, 오염된 물을 마시게 되면서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등의 수인성 전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대피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여 생활하면서 독감, 폐렴, 결핵 등의 호흡기 감염병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위생 시설 부족으로 인해 피부병, 옴, 발진티푸스 등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2. 식량 및 의료 공급 부족
지진으로 인해 도로가 파괴되면 구호 물자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식량 및 의료품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양 상태가 나빠지면 면역력이 약해져 감염병이 더욱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3. 시신 부패로 인한 감염 위험
건물 붕괴로 사망한 사람들의 시신이 방치될 경우 부패하면서 전염병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동물의 사체도 마찬가지로 세균과 바이러스를 퍼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4. 해충 및 설치류 증가
쓰레기와 오염된 환경이 조성되면서 모기, 파리, 쥐 등의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말라리아, 뎅기열, 렙토스피라증 등의 전염병 확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심리적 스트레스와 면역력 저하
지진으로 인한 충격과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감염병에 더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불안 장애 등 정신 건강 문제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GvRKRdT971A
위와같이 지진이후의 대책 방안으로는
1) 깨끗한 물과 음식 제공, 임시 화장실 설치 등 위생 관리 강화

2) 대피소 내 공간 분리 및 밀집 방지

3) 신속한 백신 접종 및 의료 지원

4) 방역 작업을 통한 해충 및 설치류 퇴치

지진 발생 후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대응과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필수적입니다.
다시한번 미얀마강진 피해자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하루속히 복구가 되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